재무·세무·금융

재무·세무·금융

거세게 공세 펼치는 중국계 보험사들, 한국시장 착륙 임박

-대규모 중국 자본 등 업은 동양생명, 알리안츠생명 고금리 저축성 보험 집중 공략

작성일 : 2017-06-01 17:02 작성자 : 이산해 편집위원

취재 이산해 편집위원
 

국내 생명보험사들이 신지급여력제도, 새 국제회계기준(IFRS17) 도입 등으로 인한 부채 급증을 우려해 보장성 보험 판매에 집중하는 등 '체질 개선'에 정신 없는 동안 고금리 저축성 보험을 내세운 중국계 보험사의 공세가 시작됐다.

중국계 보험사가 인수한 동양생명•알리안츠생명 등이 든든한 중국 대주주를 뒷배 삼아 국내 시장에서 '몸집 불리기'에 나서고 있는 것. 중국 생명보험 업계 10위권인 안방생명보험은 지난 2015년과 2016년 각각 동양생명과 알리안츠생명을 인수했다.

안방생명보험의 모회사인 중국안방보험은 중국 보험 업계 3위로 2004년 자동차보험사로 출발해 여러 보험 계열사를 거느리고 있다.

동양, 알리안츠 초회 보험료 각각 2위, 5위
자산 규모로 국내 생명보험 업계 각각 8위, 11위 규모인 동양생명과 알리안츠생명은 작년부터 적극적인 영업을 펼치고 있다.

동양생명이 올해 1~2월 받은 초회 보험료는 3356억9600만원. 삼성생명(3430억8500만원)에 이어 국내 생명보험사 중 2위에 해당한다.

알리안츠생명도 같은 기간 초회 보험료 1591억5600만원으로 업계 5위를 기록하면서 동양생명과 함께 지난해부터 저축성 보험을 적극적으로 팔면서 급격히 '세'을 불려왔다. 지난 해 동양생명이 판매한 저축성 보험의 초회 수입료는 2조3477억원이다.

전체 생명보험 업계의 20%에 달하는 수치다.

알리안츠생명도 올 들어 고금리 저축성 보험 판매에 돌입했다. IFRS17 도입을 앞두고 국내 토종 보험사들이 금리 부담이 큰 저축성 보험 판매를 줄이는 것과 반대되는 전략. 저축성 보험을 많이 팔면 2021년 IFRS17 도입 이후 보험사가 감당해야 할 부채가 크게 늘어난다.

든든한 자금력으로 경쟁력 승부
동양생명과 알리안츠생명의 이러한 파격적인 공세에는 안방보험의 자금력에서 그 해법을 찾을 수 있다.

든든한 자금력이 있는 안방보험으로 대주주가 바뀌면서 회사 경영 전략을 '생존 우선'에서 '성장 우선'으로 바꾼 것이다.

안방보험은 2015년 9월 동양생명을 1조1300억원에 인수한 뒤 올해 초 5283억원 유상증자를 실시했다.

작년 말에는 알리안츠생명을 35억원에 인수한 뒤 2180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했다. 동양생명 관계자는 "저축성 보험 판매 증가로 부채가 늘어나는 측면도 있지만, 고객 수를 늘려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기회이기도 하다"며 "작년 2.85%, 올해 2.1% 등 업계 최고 수준 저축성 보험 최저 보증 이율을 제시하고 있는 만큼 고객들에게도 이익"이라고 했다.

수년 내 동양생명과 알리안츠생명이 합병할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양사가 합병할 경우 자산 기준 업계 5위 규모로 올라서게 된다.


중국계 보험, 국내 생명보험 시장 공략 지속 가능성 ?
보험연구원에 따르면 중국 생명보험사의 온라인 채널 수입 보험료는 2014년 353억위안에서 2015년 1466억위안으로 급성장했다.

2013년 설립 이후 보험 상품을 약 50억건 판매한 중안(衆安)보험은 중국 인슈테크의 대표적인 예로 꼽힌다.

중국 전자상거래 회사 '알리바바'가 인터넷•게임 서비스 기업 '텐센트', 평안보험회사와 함께 설립한 대륙 최초 온라인 손해보험사로 2015년과 2016년 연속 세계적인 컨설팅사 KPMG가 꼽은 100대 세계 핀테크 기업 중 5위 안에 꼽혔다.

전문가들은 중국계 보험회사가 국내 생명보험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한다.

보험연구원 조영현 연구위원은 'M&A에 의한 생명보험산업의 소유 구조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에서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한 중국계 금융회사가 미국•유럽 등 다양한 국가로 진출하면서 수익을 다각화하고 위험을 분산시키고 있다'며 '한국 시장 진출도 글로벌 네트워크에 기반을 두고 점유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중국계 보험사의 '세 불리기'가 일시적인 현상에 그칠 것이라는 의견도 많다. 한 업계 관계자는 "지금 같은 저축성 보험 위주의 '덩치 키우기'식 영업은 대주주가 계속 대규모 지원을 해주거나, 자산 운용 수익률을 더욱 올려야 지속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